NIE 효과
|
---|
국내외 NIE 효과 측정 조사결과에 따르면 NIE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여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사회 현상의 이해를 돕습니다. • 현대생활에 필요한 능력을 터득시키고 학생들의 인격을 키웁니다. • 언어능력이 향상되고 학생들의 비평능력 개발을 돕습니다. • 신문을 비평적으로 읽기 위한 욕구와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 공공의 문제에 대한 관심을 학생들에게 심어주고, 성인매체로 여겨진 신문을 읽음으로써 자부심을 느끼게 합니다. • 다양하고 현실적이며 비용이 적게 드는 보조적인 교육자료를 제공합니다. • 역사적 기록과 정보를 쉽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적극적인 읽기를 통해 실용적인 단어와 문장력의 증대를 돕습니다. • 학생들의 개인적 · 사회적 교육을 뒷받침합니다. • 다양한 미디어 중에서 신문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킵니다. • 신문 제작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 학생들에게 글쓰기 기회를 제공합니다. • 다양한 사실과 가치를 인식할 수 있게 합니다. • 주체성을 제고시키며, 정보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미래의 ‘바람직한 독자'로 자리매김 할 수 있게 합니다. |
국내 효과측정 사례
한국에서는 중앙일보와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2002년 3월 25일부터 9월 14일까지 초등 79명, 중등 69명, 고등 79명을 대상으로 능력, 관심도, 인성 · 신문 친화도의 항목을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능력면에서는 정보 검색과 창의력, 읽기, 쓰기, 학습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관심도에서는 문화활동,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 정치, 경제 등 사회 전반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인성 및 신문친화도 면에서는 타인을 우선 배려하게 되었고, 정보를 찾는데 신문을 이용하게 되었으며, 신문의 내용을 인용하여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신장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
■ 2004년 학교 NIE 실태조사 (교사)
한국신문협회가 2004년 9월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6개 광역시와 경기, 강원, 충청, 영남, 호남지역의 공립 초, 중, 고교(인문, 실업) 교사 3,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 2005년 학생 NIE 실태조사 (학생)
한국신문협회가 2005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초, 중, 고교(18개 학교 54개 학급) 학생 2,0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 2009년 NIE 수업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신문협회가 2009년 10월~11월까지 서울과 경기.인천지역 6개 중학교(14개 학급) 1학년 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성취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취도 평가 결과, NIE 수업반이 비수업반보다 평균 7.6점 더 높아
성취도 평가에서 가장 효과가 높았던 요소는 △느끼고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글쓰기(상상적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에세이나 보고서를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글을 능동적으로 읽으면서 의미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의사소통 능력, 사회적 기능 > 구두표현력 > 문해력 > 도해력 순으로 효과 높아
의사소통 능력 평가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가장 효과가 높았던 요소는 △수업에서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것을 생각하면서 이야기하는 기회를 얻었다(3.76). △집단토의와 같은 활동에 참여하여 역할을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3.76)로 나타났습니다.
|
■ 2010년 NIE가 학업 성취와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신문협회가 2010년 9월 3주간 인천도화초등학교, 서울동원중학교, 서울구일고등학교에서 각각 2개 학급씩 총 188명을 임의로 선정해, 실험반은 신문을 수업자료로 사용하고 비교반은 교과서만을 수업자료로 사용한 후 성적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학업성취도 12~19점 더 높고, 주관식·고급사고 문항에 큰 효과
실험반과 비교반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능력을 측정한 결과,
|
■ 2011년 NIE가 자기 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신문협회가 2011년 7월 11일~26일까지 수도권 지역 초등학교 6학년(15개교 539명)과 중학교 2학년(16개교 566명) 학생 1,105명을 대상으로 신문읽기 습관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