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신문과 상생' 약속 무시...공동연구 난항
작성일
|
2015-12-15
연구 핵심내용인 소비행태, 이용경로 등
‘포털 내 뉴스의 역할’ 데이터 요청엔 난색
신문협회와 네이버·카카오 등 포털이 함께 추진하기로 한 ‘뉴스 저작물의 합리적인 이용대가 산정 기준 마련’을 위한 공동조사연구가 포털 측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난항을 겪고 있다. 포털은 연구계획안 마련을 위한 수차례의 실무회의에서 당초 합의와 달리 이런저런 이유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다거나 심지어 합의 자체를 부정하는 듯한 태도까지 보이고 있다.
신문협회와 포털 2개사는 지난 7월 신문협회 사무실에서 만나 ①신문협회와 포털(네이버, 다음카카오)은 ‘뉴스 제휴 평가위원회’와는 별개의 기구(비공식 간담회)에서 ‘뉴스의 적정 전재료 산출기준’ 마련을 위한 논의를 시작한다 ②논의가 진척되고 양자 의견이 수렴되면 공식기구화, 전재료 공동협상, 총액 결정 등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③양자의 입점 제휴매체 선정기준, 뉴스 배열의 알고리즘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되 논의의 장은 제휴평가위 또는 비공식 간담회 중 적절한 곳을 활용한다 등 3개항에 대해 합의했다.
당시 국회 등에서 포털문제가 정치 이슈화되면서 ‘포털과 관련된 문제는 신문-포털의 상생을 목표로 업계 자율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 아래 신문협회가 포털에 “뉴스 유통 생태계 개선방안에 관한 공동연구를 추진하자”고 제안하면서 이뤄진 합의였다. 이 합의 이전에도 포털은 기회 있을 때마다 “신문과의 상생 발전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겠다”고 공언해왔다.
이 합의를 바탕으로 신문협회와 포털은 지난 10월말부터 공동연구 계획안을 마련하기 위한 실무논의를 시작했다. 그간 양측은 연구 주제·목적·내용, 연구자 구성, 일정, 예산 등에서 난항 끝에 의견 접근을 보았으나 이번 연구의 핵심사항이라 할 ‘관련 데이터 제공범위와 분석대상’에는 이견이 커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신문협회가 제안한 공동연구의 목적은 이용자들의 신문 뉴스저작물 소비행태 등에 대한 객관적 과학적인 분석을 토대로 회원사가 포털에 제공하는 신문 뉴스저작물이 포털에 미치는 유무형의 기여도를 계량하고 회원사들이 합당한 대가를 받고 있는지도 판단해보자는 것이다. 신문협회는 지난해 독자적으로 실시한 ‘N-Screen 환경에서 뉴스 콘텐츠 유통 전략 및 디지털 뉴스 생태계 개선 방안’ 조사연구에서 회원사의 포털 기여도를 소비자 설문조사와 외부자료를 분석해 추정한 바 있다. 이번엔 조사결과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이용자들의 행태분석 데이터를 조사대상으로 삼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문협회는 포털과의 실무협의에서 ①포털 전체 이용자 중 신문 뉴스저작물 이용자 데이터 ②포털 전체 페이지 뷰 중 신문 뉴스저작물 페이지 뷰 데이터 ③이용자의 포털 내 총 체류시간 중 신문 뉴스저작물 등 체류시간의 비중 ④이용자의 포털 섹션 내 이동 경로(교차 이용: 뉴스, 메일, 검색 등) ⑤신문 뉴스저작물 분야별(예: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연예 등) 이용 현황과 회원사별 이용 현황 등 변수를 분석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요구해 왔다.
이 중 이견이 큰 부분은 ③④⑤와 관련된 것. 포털 측은 이들 데이터를 산출하려면 막대한 인력과 비용이 들 뿐 아니라 기술적인 어려움과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문제도 있어 ①②만 제공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①②는 굳이 포털이 제공하지 않아도 닐슨코리안클릭 등 외부 조사분석업체에서 손쉽게 입수 가능하다. 공동연구 방식으로 추진할 이유가 없어지는 것.
신문협회는 12월 3일 분석대상은 약 3만 명, 분석기간은 1~2주, 외부업체에 분석 용역 의뢰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최종 수정안을 제시했다. 포털 측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공동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취지이다. 협회는 또 공동연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대안이 있다면 제의해 줄 것도 요구했다.
신문협회는 조만간 포털과 마지막 접촉을 시도해 절충점을 모색할 방침이다. 하지만 포털이 끝내 입장을 굽히지 않을 경우 언론 역사상 최초로 시도한 신문협회와 포털간 상생발전 논의가 소득 없이 끝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포털 내 뉴스의 역할’ 데이터 요청엔 난색
신문협회와 네이버·카카오 등 포털이 함께 추진하기로 한 ‘뉴스 저작물의 합리적인 이용대가 산정 기준 마련’을 위한 공동조사연구가 포털 측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난항을 겪고 있다. 포털은 연구계획안 마련을 위한 수차례의 실무회의에서 당초 합의와 달리 이런저런 이유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다거나 심지어 합의 자체를 부정하는 듯한 태도까지 보이고 있다.
신문협회와 포털 2개사는 지난 7월 신문협회 사무실에서 만나 ①신문협회와 포털(네이버, 다음카카오)은 ‘뉴스 제휴 평가위원회’와는 별개의 기구(비공식 간담회)에서 ‘뉴스의 적정 전재료 산출기준’ 마련을 위한 논의를 시작한다 ②논의가 진척되고 양자 의견이 수렴되면 공식기구화, 전재료 공동협상, 총액 결정 등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③양자의 입점 제휴매체 선정기준, 뉴스 배열의 알고리즘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되 논의의 장은 제휴평가위 또는 비공식 간담회 중 적절한 곳을 활용한다 등 3개항에 대해 합의했다.
당시 국회 등에서 포털문제가 정치 이슈화되면서 ‘포털과 관련된 문제는 신문-포털의 상생을 목표로 업계 자율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 아래 신문협회가 포털에 “뉴스 유통 생태계 개선방안에 관한 공동연구를 추진하자”고 제안하면서 이뤄진 합의였다. 이 합의 이전에도 포털은 기회 있을 때마다 “신문과의 상생 발전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겠다”고 공언해왔다.
이 합의를 바탕으로 신문협회와 포털은 지난 10월말부터 공동연구 계획안을 마련하기 위한 실무논의를 시작했다. 그간 양측은 연구 주제·목적·내용, 연구자 구성, 일정, 예산 등에서 난항 끝에 의견 접근을 보았으나 이번 연구의 핵심사항이라 할 ‘관련 데이터 제공범위와 분석대상’에는 이견이 커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신문협회가 제안한 공동연구의 목적은 이용자들의 신문 뉴스저작물 소비행태 등에 대한 객관적 과학적인 분석을 토대로 회원사가 포털에 제공하는 신문 뉴스저작물이 포털에 미치는 유무형의 기여도를 계량하고 회원사들이 합당한 대가를 받고 있는지도 판단해보자는 것이다. 신문협회는 지난해 독자적으로 실시한 ‘N-Screen 환경에서 뉴스 콘텐츠 유통 전략 및 디지털 뉴스 생태계 개선 방안’ 조사연구에서 회원사의 포털 기여도를 소비자 설문조사와 외부자료를 분석해 추정한 바 있다. 이번엔 조사결과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이용자들의 행태분석 데이터를 조사대상으로 삼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문협회는 포털과의 실무협의에서 ①포털 전체 이용자 중 신문 뉴스저작물 이용자 데이터 ②포털 전체 페이지 뷰 중 신문 뉴스저작물 페이지 뷰 데이터 ③이용자의 포털 내 총 체류시간 중 신문 뉴스저작물 등 체류시간의 비중 ④이용자의 포털 섹션 내 이동 경로(교차 이용: 뉴스, 메일, 검색 등) ⑤신문 뉴스저작물 분야별(예: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연예 등) 이용 현황과 회원사별 이용 현황 등 변수를 분석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요구해 왔다.
이 중 이견이 큰 부분은 ③④⑤와 관련된 것. 포털 측은 이들 데이터를 산출하려면 막대한 인력과 비용이 들 뿐 아니라 기술적인 어려움과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문제도 있어 ①②만 제공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①②는 굳이 포털이 제공하지 않아도 닐슨코리안클릭 등 외부 조사분석업체에서 손쉽게 입수 가능하다. 공동연구 방식으로 추진할 이유가 없어지는 것.
신문협회는 12월 3일 분석대상은 약 3만 명, 분석기간은 1~2주, 외부업체에 분석 용역 의뢰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최종 수정안을 제시했다. 포털 측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공동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취지이다. 협회는 또 공동연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대안이 있다면 제의해 줄 것도 요구했다.
신문협회는 조만간 포털과 마지막 접촉을 시도해 절충점을 모색할 방침이다. 하지만 포털이 끝내 입장을 굽히지 않을 경우 언론 역사상 최초로 시도한 신문협회와 포털간 상생발전 논의가 소득 없이 끝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