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혁명 CTS
|
---|
개요
|
우리나라 신문의 인쇄와 제작은 활자주조 등 전 과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에서 원고작성 등 전 과정이 컴퓨터로 처리 되는 CTS로 변천해 왔습니다.
초창기에는 활판 위에 잉크를 바르고 직접 종이를 얹어 신문을 찍었습니다. 이후 활판을 지형으로 뜨고 그것을 다시 연판으로 만들어 인쇄하는 방식으로 발전했습니다. |
---|
이 방식에서는 납활자를 뽑는 문선작업이 신문제작의 주요 공정이었습니다. 윤전기를 도입해 시간당 1만장을 찍을 수 있게 된 1912년 이래 단시간에 많은 부수를 찍는 대량인쇄시대로 나아갔습니다.
1920∼60년대까지는 인쇄 기술상 큰 변화는 없었으나 고속윤전기의 도입으로 점차 짧은 시간에 많은 부수를 찍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기간에는 신문에 어울리는 글꼴을 만들어내고 조판을 아름답게 하는 방법이 연구되었습니다. 1970년대 말에 색도분해 기술을 이용한 컬러인쇄가 가능해졌고, 1990년대에는 컬러인쇄가 일반화되었습니다.
1980년대 중반 사진식자기를 이용해 제작한 원고를 필름으로 만들고, 필름에 빛을 쬐어 부식시킨 알루미늄판으로 인쇄를 하게 되었습니다. 1990년대에는 전 과정을 컴퓨터로 처리하는 CTS 방식이 도입되면서 신문 제작 시간이 대폭 줄어들었습니다. CTS의 도입으로 100여년 동안 신문제작에 필수적이었던 납활자가 사라졌습니다. |
연혁
|
활판인쇄
▶ 활판인쇄 과정
▶ 활판인쇄란? 활판 인쇄란 조판된 판면에 인쇄 잉크를 칠해 인쇄하는 기술입니다. 활판은 원고에 따라 활자를 한 자 한 자씩 맞추어 만든 판을 말합니다. 1970년대까지 쓰인 현대식 활판 인쇄는 조판된 판면으로 지형을 뜨고 그것을 연판으로 제작해서 거기에 잉크를 발라 인쇄했습니다.
최초의 활판 인쇄 기술은 1234년 이전에 고려에서 금속활자를 찍어내는 등 동양에서 먼저 개발했지만 기계적 압력에 의한 대량인쇄는 독일의 구텐베르그에 의해 그보다 200여년 뒤에 실행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신문인 한성순보는 수동식 실린더 인쇄기로 제작했으며 독립신문이나 대한매일신보 등은 그보다도 더 수공업적인 평활판 인쇄기로 제작했습니다.
1912년에 매일신보에서 마리노니식 윤전기를 도입한 이래 신문의 대량 인쇄가 시작되었습니다. |
CTS
▶ CTS 인쇄과정
▶ CTS 란 CTS란 'Computerized Typesetting System'의 약자로 원고작성에서 조판에 이르기까지 전산화된 체계를 말합니다. 1990년대에 들어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원고작성부터 사진촬영과 전송, 레이아웃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이 전산화되었습니다.
1990년대 중반 한글의 글꼴이 전산화됨으로써 모니터 상에서 편집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1990년대 중후반에는 사진을 디지털카메라로 찍어 노트북 으로 바로 전송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질도 크게 개선됨으로써 전 조판과정이 전산화되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그날 신문의 실시간 PDF서비스가 시작되었고, 점차 디지털 인쇄기술이 개선되고 있기 때문에 소규모 다품종 신문제작을 요구하는 미래형 맞춤신문의 실현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